교통비를 지원해주는 정부 및 지자체 정책을 놓치지 마세요. 통학이나 출퇴근 때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들은 교통비를 상당부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본문에서 교통카드 비교 추천 (K패스, 기후동행카드, 더경기패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교통카드 비교
많이 이용하고 있는 교통카드로는 K패스, 기후동행카드, 더경기패스가 있습니다. 각 교통카드 비교로 어느 카드가 본인이 유리한지 판단하셔서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K패스
K패스는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한달에 15회 이상 이용 시 일정 금액을 적립해주는 제도입니다. 일반은 20%, 청년(19~34세)는 30%, 저소득자는 53%를 적립해줍니다.
K패스는 전국 210개 시군구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K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주민이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관련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후동행카드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운행하고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경우 해당 구간에서 무제한 사용이 가능한 정기권 카드입니다.
월 일정한 금액으로 횟수에 상관없이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므로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할수록 유용한 카드입니다.
K패스는 전국 대부분에서 사용이 가능한 반면,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경기패스
더경기패스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9세이상 성인이 대상으로 전국 모든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K패스와 다른 점은 K패스는 월 60회까지 적립이 되지만, 더경기패스는 상한없이 무제한 적립이 가능합니다.
그 외는 K패스와 동일합니다.
교통카드 추천
그럼 각 교통카드 비교를 통해 본인에게 어느 것이 맞는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월 62,000원으로 서울시 내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지만, 서울 외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반면 ‘K-패스’는 이용 금액에 따라 환급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교통비 지출이 비교적 적은 사용자에게 유리합니다.
따라서 월 77,500원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후동행카드가 더 경제적이며, 그 이하의 경우에는 K-패스가 더 효율적입니다.
한편 경기도에서 운영하는 ‘더경기패스’는 K-패스의 기본 구조에 무제한 사용 등 추가 혜택이 더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경기도 거주자에게는 더경기패스가 더 실용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 표에서 세 가지 제도의 주요 차이점을 비교해 보세요.
항목 | K-패스 | 기후동행카드 | 더경기패스 |
사용 지역 | 전국 | 서울시 | 전국 |
운영 방식 | 요금 환급 | 정기권 | 요금 환급 |
혜택 | 일반 20%, 청년 30%, 저소득 53% 환급 | 대중교통 무제한 | 일반 20%, 청년 30%, 저소득 53% 환급 |
조건 | 월 15회 이상 이용 | 월 62,000원 (청년 55,000원) | 월 15회 이상 이용 |
제한 | 60회 | 무제한 | 무제한 |
기후동행카드 추천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내에서만 이동하거나 월 대중교통 이용 금액이 7만 7천이 넘을 경우 유리합니다
- 서울 내에서만 이동하는 경우
- 월 대중교통 이용 금액이 7만 7천원이 넘을 경우
- 따릉이도 같이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K패스카드 추천
K패스카드는 서울 외 지역으로 이동이 많거나 월 대중교통 이용 금액이 7만 7천원 이하일 경우 유리합니다
- 서울 외 지역으로 이동이 많은 경우
- 월 대중교통 이용 금액이 7만 7천원 이하일 경우
- 청년 및 저소득층으로 일반인보다 혜택을 더 많이 받는 경우
K패스는 각 신용카드사에서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각 카드사별 K패스 교통카드 비교 추천은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카드 이용시 주의사항
기후동행카드
단, 기후동행카드는 사용 가능 지역이 서울 한정이므로 서울에서 탑승하고 인천시 또는 경기도에서 내릴 경우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그리고 신분당선은 아예 이용이 불가합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실물카드나 모바일카드로 이용이 가능한데, 아이폰의 경우에는 교통카드 미지원으로 인해 실물카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 서울만 이용 가능해요
- 신분당선은 아예 이용이 불가능해요
- 아이폰은 모바일카드 이용이 불가능해요 (실물카드만 가능)
K패스카드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이용하는 경우에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15회보다 적으면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하루기준으로 2회만 환급이 가능하고, 월기준으로 60회까지만 환급이 가능합니다.
- 월 15회보다 적으면 혜택을 못 받아요
- 일 2회, 월 60회까지만 적용돼요
- 월 대중교통 이용금액이 20만원 초과 시 초과 이용금액은 50%만 적용돼요
마무리
지금까지 K패스 발급방법 및 혜택 (케이패스 vs 기후동행카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다양한 대중교통 할인제도가 생기면서 본인에게 맞는 혜택을 찾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현명한 선택으로 대중교통비 부담을 줄여보세요.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